공부

[NDC 17] 18년차 기획자가 말하는 특별한 기획자 되는 법 (커리어센터)

imitme 2018. 9. 16. 21:13
반응형

게임 좋아? > 많이 해봤어? > 기억에 남는 것은? > 인기 있는 이유는? > 어떤 비전을 갖고 있어?


Q.창의성을 키우는 방법은?  //  Q.게임시장 이해는?  // Q.커뮤니케이션 잘하려면?


의도는 있는데?   // 뒤엔 사라져....  // Q. 뭘봐야 하지?

*유저에게 보이는 것 말고, 왜 얘가? / 왜 이 얘기를? / 왜 이게나와? 등등을 적어야 한다.*


실제 기획서 쓸 때도 마찬가지. 다 한 후 의도가 맞는가를 확인말고, 직접 재검토 할 필요있다!

명확한 의도 없이 / 이해 못해 설득 못하면 / 유저 설득도 못한다!


결론을 2,3번 고민후에도 이 하나인것 같다면, 다음 단계로!


의도를 설명하려고 노력하되, 질문에 충실해야 한다.

질문에 충실하게 답하면서, 의도를 파악하고, 의도에 맞는 답을 찾아가야 해?


하고 > 견문 > 정보 > 관점> 발생영향 &결과 생각하고(대충이럴거야 말고) > 최대한 구체적으로 써본다(글로)

=> 많은 액션 플랜이 존재한다. "유저가 이렇게 플레이하기를 기대합니다." <=


의도 정해버려 & 파악 > 읽고 쓰기 > 정리 요약 전달. ex) "어떻게 플레이 하길 원해요!"

Q.밸러스 : 유저의 눈높이의 이해 > 데이터 분석 > 시뮬레이션 >> 직접해보기

Q.넥슨 :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는 회사. 

Q. 개발을 위해, 트랜드를 이해&활용하는 것이 중요 > 분석방법이 다양(대상)

Q. 마케팅의 방향 == 개발의 방향



기사1. 마비노기 박웅석 디렉터, 신규 기획자를 위한 조언


기획자가 되기 위해서 게임의 역사나 게임을 많이 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역기획서와 신규 콘텐츠 및 시스템 기획서, 신규 시나리오 기획서, 게임 기획서를 미리 써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1. 게임을 많이 해 그 게임 안의 구조와 넣어진 의도에 대해 명확히 파악!

2. 각종 매체들을 활용해 정보를 얻어 견문을 넓히고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보기!

3. 1차 정리!

4. 1차 정리물(기획서) 안에 종합 분석과 명확한 의도 등이 이뤄지고, 이것으로 남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스스로 에게 질문할 것

 나는?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어떤 것을 하고 싶은가?

 

어떤 기획을 하고 싶은가? 

 

내가 요구 되는 필요 역량을 가지고 있는가? 

 

나의 강점 및 약점을 보완할 방법등을 목표로 설정해

자기 자신부터 명확히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강점들을 정말 강점으로 될 수 있도록 계획적으로 훈련하고, 정진해

기획자를 꿈꾸는 신입이 우리와 함께 한국 게임 시장을 이끌어 주었으면 좋겠다.




기사2. 18년차 기획자가 말하는 특별한 기획자 되는 법 _2017-04-26


# 왜 좋아하는가? (기획자는!)

  

 게임의 재미와 기반을 설계하는 직업

 질문

 게이머

기획자 

게임 좋아하는가? 

네 좋아합니다. 

어떤 장르의 어떤 게임을 무엇 때문에... 

게임 많이 해보았나? 

밤세워서했다. 

어떤 게임을 무엇 때문에 많이 플레이.. 

게임에서 기억이 남는 것은? 

레이드가 엄청 재미있어서 기억이 남는다. 

어떤 컨텐츠 or 시스템의 어떤 요소 때문에..

게임이 인기 있는 이유는?

주변에 친구들이나 PC방에 가면 많이 한다. 

시작에서 어떤 것이 어떤 의미인자...

어떤 비전을 가지고 계세요? 

게임 개발 하고 싶습니다. 

 어떤 기획 분야에서 어떤 구체적인 계획을...


시야가 게이머 수준에서 머무르면, 기획자로서 필요한 역량을 키우기 힘들다.


# 너 자신을 알라! (가장중요)

기획자가 어떤 사람인지 알고, 기획자가 되려는 나는 어떤 사람인지 파악한다!

기획자에도 세부적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역량을 요구하니, 자신의 역량을 알고, 이것이 어떤 분에 유리한지 알아보고 효과적으로 자신을 계발할 수 있다.


질문

 

나는?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어떤 것을 하고 싶은가? 

 

 

기획에는 어떤 기획이 있는가?

 

 

내가 원하는 기획에 필요 역량은 무엇인가?

(공통) 게임 시장에 대한 이해
(공통) 커뮤티케이션 능력

(공통) 책임감

(공통) 창의적인 콘텐츠와 시스템 구현



나는 요구되는 필요 역량을 가지고 있는가? 

 

 

그 중 강점이 되는 나의 역량은? 

 

 

그 중 약점이 되는 나의 역량은? 

 

 

강점을 강화하는 구체적인 계획은?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은? 

[대화속에서 나온다.]

 (약점) 창의적인 콘텐츠와 시스템 구현

 

 고민 / 설정 / 인정


 요구역량

 나의 역량은? 

 시스템(  )

 

 콘텐츠(   )

 

레벨 

 

밸런스 

 

퀘스트

 



# (약점보완) '왜'이런 콘텐츠를 만들었을까?

cf. 역기획 : 이미 완성된 다른 게임의 콘텐츠를 보고, 역으로 기획서를 다시 작성한 것.

퀘스트 진행 과정이나 달성 조건 등 겉으로 보이는 것에 집중하지 말고, 어떤 의도로 유저에게 어떤 경험을 보여주려 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 의도가 실제로 유저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명확한 기획의도 없이 과연 유저를 설득할 수 있을까요?"

"명확히 기획의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컨텐츠를 만들 수 있을까요?"


그래야 기획자의 사고를 이해할 수 있고, 게임의 각 요소가 어떻게 작동해 그 의도가 구현되었는지 알 수 있고, 실제로 유저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컨텐츠 분석 

 확인

 컨텐츠의 의도가 뭘까?

 

어떤 요소들을 활용하여 구성을 했나? 

 

각 요소들은 어떤 이해와 영향을 주나? 

 

유저들이 어떻게 플레이하기 원하지? 

 

실제 유저들은 어떻게 플레이 하지? 

 

왜 이 차이가 발생하는 걸까? 

 

각 요소 중 이런 변경이 생기면 어떨까? 

 

만약 이 컨텐츠를 리뉴얼 한다면?

 

 

 컨텐츠의 기본 룰은 뭘까?

 

기본 룰을 유지하면서 변경할 수 있는 요소는? 

 

그로부터 파생되는 컨텐츠는? 

 

기본룰을 이렇게 바꿔보면? 

 

바뀐 룰을 유지하면서 변경할 수 있는 요소는? 

 

그로부터 파생되는 컨텐츠는? 

 

 

컨텐츠의 의도가 바뀌었는가? 

 

활용하는 구성은 얼마나 어떻게 바뀌었는가? 

 

기획자의 의도대로 구성이 되어 있나? 

 

실제 유저들은 어떻게 플레이 할까? 

 

 

어떤 지표들이 어떤 변화를 가져갈까? 

 

최종적으로 어떤 내용들이 유효한 걸까?  



체크리스트 

 확인 및 서술

 어떤 의도로?

 

 어떤 경험을 보여주려 했는가?

 

ㄴ 각 요소가 어떻게 작동했는가?

 

실제로 유저는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ㄴ 그 의도가 구현되었는가?

 


이 콘텐츠를 어떻게 리뉴얼 하면 좋을까?

 

 어떤것을 유지하고 어떤것을 바꿔야 하는가?

 

 그것들이 유저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

 


게임을 즐길때 역기획 하듯 최대한 깊이 파악하는 것이 좋다. (기획의도와 구현 공부를 위해)

특정 기획의도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고 구현하는 것을 접할 수 있기에 다양한 게임을 많이 플레이하는 것이 좋다.

그렇기에,     플레이를 많이 했다는 것은, 이런 경험을 계속 익히기 쌓았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으로 끝나면 안된다. 문서화 하거나 대화함으로써 구체화해 내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훈련필요!


의도 정하기 & 파악하기

 

(무엇보다 읽고 & 써 보기 )

 

(잘 요약 정리하기 & 전달하기(문서 포함) )

 

구성 & 룰 이해하기 

 

결과 분석 & 정리하기 

 

 변경 점 고민/적용

 
 결과 예상 / 확인 
 의도 / 구성 검증 

목표 역량 설정 & 강화하기 

 




기사3. gamevu :

"

게임을 많이 즐겨보는 방법

1. 하나의 게임 정해서 깊게 해보기! 그 후,

2. 여러 장르의 게임을 깊게 해보기

3. 여러 장르의 다양한 게임을 깊게 해보기

"


기획서를 쓰기 전에! 

1. 의도와 메세지를 확실하게 정하기,

2. 다 작성 후 그 게획의도가 끝까지 잘 지켜졌는지 확인,

3. 이대로 하면, 기획의도대로 결과가 나올 것인기 확인,

4. 그 결과 게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생각하기! 

"


"

게임기획서를 다른 개발자에게 보여주면 나오는 반응

"무슨 이야기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

"너무 길어 핵심 메세지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요약좀 해달라"

"

반응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해 보기  (0) 2018.09.18
[커리어센터]질의응답 일부  (0) 2018.09.17
게임기획자 키워드모음  (0) 2018.08.05
[youtube]UNITE SEOUL 2016 - 물리 기반 쉐이더의 허와 실  (0) 2018.02.10
터치 제스쳐(touch gesture)  (0) 2018.02.06